맨위로가기

세계 스프린트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계 스프린트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는 국제빙상경기연맹(ISU)이 주최하는 스피드 스케이팅 대회로, 1970년 미국 웨스트앨리스에서 처음 개최되었다. 500m와 1000m를 두 번씩, 총 네 번의 레이스를 통해 기록을 점수화하여 순위를 결정하며, 대한민국에서는 2000년과 2016년에 서울에서 대회가 열렸다. 대한민국 선수로는 배기태, 김윤만, 이규혁, 이상화 등이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미국, 네덜란드, 소련 등이 역대 메달 집계에서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피드스케이팅 - 인라인스피드스케이팅
    인라인 스피드 스케이팅은 인라인 스케이트를 이용하여 속도를 겨루는 스포츠이며, 특수 장비를 사용하고 다양한 경기 방식과 팀 전술을 통해 경쟁하며, 월드 게임과 세계 선수권 대회가 개최된다.
  • 세계 선수권 대회 - 럭비 월드컵
    럭비 월드컵은 세계 럭비가 주관하는 럭비 유니온 최고 권위의 대회로, 4년마다 20개국이 참가하여 우승팀을 가리는 세계 3대 스포츠 이벤트 중 하나이다.
  • 세계 선수권 대회 - 크리켓 월드컵
    크리켓 월드컵은 국제 크리켓 협의회(ICC)가 주관하는 국제 원데이 국제 크리켓(ODI) 대회로, 오스트레일리아가 최다 우승국이며 세계적인 스포츠 이벤트이다.
세계 스프린트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대회 정보
종목스피드 스케이팅
종류세계 선수권 대회
시작 연도1970년
주기매년
웹사이트국제 스케이팅 연맹

2. 역사

세계 스프린트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는 단거리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들의 실력을 겨루는 대회로, 1970년 미국 웨스트앨리스에서 ISU 스프린트 선수권 대회라는 이름으로 처음 개최되었다. 1972년부터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초창기에는 유럽에서 세계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보다 낮은 평가를 받기도 했지만, 에릭 하이든, 보니 블레어 (이상 미국), 카린 카니아 (동독), 이고르 젤레조프스키 (벨라루스) 등 세계적인 선수들이 등장하면서 대회의 위상이 높아졌다.

일본에서는 1986년 가루이자와, 1993년 이카호, 2004년 나가노, 2010년 오비히로에서 대회가 개최되었다. 일본 선수로는 남자부의 구로이와 아키라가 2번 종합 우승을 차지했고, 시미즈 히로야스가 6번 시상대에 올랐다. 여자부에서는 고다이라 나오, 다카기 미호가 2번 종합 우승을 기록했다.

에릭 하이든, 카린 카니아, 나탈리아 페트루세바, 보니 블레어는 세계 종합 선수권 대회와 세계 스프린트 선수권 대회에서 모두 우승을 차지한 선수들이다. 안니 프리징어, 샤니 데이비스, 다카기 미호는 세계 종합 선수권 대회, 세계 스프린트 선수권 대회, 세계 종목별 선수권 대회에서 모두 세계 타이틀을 획득했다.

2018년 ISU 격년 총회에서는 2021년부터 세계 종합 선수권 대회와 세계 종목별 선수권 대회를 통합하여 세계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를 격년으로 개최하기로 결정했다.

역대 개최지
년도개최지국가
1970웨스트 앨리스
1971인첼
1972에스킬스투나
1973오슬로
1974인스브루크
1975예테보리
1976서베를린
1977알크마르
1978레이크플래시드
1979인첼
1980웨스트 앨리스
1981그르노블
1982알크마르
1983헬싱키
1984트론헤임
1985헤렌벤
1986가루이자와
1987생트푸아
1988웨스트 앨리스
1989헤렌벤
1990트롬쇠
1991인첼
1992오슬로
1993이카호
1994캘거리
1995밀워키
1996헤렌벤
1997함메르
1998베를린
1999캘거리
2000서울
2001인첼
2002함메르
2003캘거리
2004나가노
2005솔트레이크시티
2006헤렌벤
2007함메르
2008헤렌벤
2009모스크바}
2010오비히로
2011헤렌벤
2012캘거리
2013솔트레이크시티
2014나가노
2015아스타나
2016서울
2017캘거리
2018창춘
2019헤렌벤
2020함메르
2022함메르
2024인첼


2. 1. 한국 개최

대한민국에서는 총 3번의 세계 스프린트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가 개최되었다. 1990년에는 배기태 선수가 금메달을 획득하였고, 2000년2016년에는 서울에서 대회가 개최되었다.

2. 2. 한국 선수 주요 성적

대한민국은 세계 스프린트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남자부에서는 배기태, 김윤만, 이규혁 등이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이강석, 모태범, 문준 등이 메달을 추가했다. 여자부에서는 이상화가 금메달을 획득했다.

대한민국 선수 주요 성적 요약
선수합계
이규혁4004
이상화2002
배기태1001
김윤만1001
이강석0101
모태범0112
문준0011
합계73414


2. 2. 1. 남자부

대한민국은 세계 스프린트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남자부에서 배기태가 1990년에 금메달을 획득한 것을 시작으로, 김윤만이 1995년에 금메달을 추가했다. 이규혁은 2007년, 2008년, 2010년, 2011년에 금메달을 획득하며 이 대회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이강석은 2010년에 은메달, 모태범은 2011년에 은메달, 2012년에 동메달을 획득했고, 문준은 2008년에 동메달을 획득했다.

대한민국 선수 메달 기록
선수
이규혁400
배기태100
김윤만100
이강석010
모태범011
문준001



전체적으로 대한민국은 이 대회에서 금메달 7개, 은메달 3개, 동메달 4개를 획득하여 좋은 성적을 보여주고 있다.

국가별 메달 순위
순위국가합계
121231761
212152552
31110829
41013831
5108321
686620
77121332
873414
965314
1063413
1144614
122035
131203
141113
151113
161001
170224
180011
180011
180011
180011


2. 2. 2. 여자부

국가총 메달
21231761
12152552
1110829
1013831
108321
86620
7121332
73414
65314
63413
44614
2035
1203
1113
1113
1001
0224
0011
0011
0011
0011



대한민국이상화는 2010년, 2013년에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3. 경기 방식

500m와 1000m를 각각 두 번씩 활주하여 기록을 점수로 환산한다. 500m는 기록을 그대로 점수로 사용하고, 1000m는 기록을 2로 나눈 값을 점수로 사용한다. 네 번의 레이스 점수를 합산하여 총점이 가장 낮은 선수가 우승한다. 점수는 소수점 이하 셋째 자리까지 나타낸다.

예를 들어 2006년 대회 남자 종합 우승자인 조이 치크(미국)의 기록은 다음과 같다.

종목1차 시기2차 시기
500m35초 1935초 09
1000m1분 09초 251분 10초 17



위 기록의 점수는 35.19 + (69.25 / 2) + 35.09 + (70.17 / 2) = 139.990점이다.

4. 역대 메달 집계

세계 스프린트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의 역대 메달 집계는 다음과 같다.

순위국가합계
1미국1316938
2독일106319
3네덜란드85619
4중국55313
5일본44210
6캐나다43411
7동독371020
8소련34310
9러시아1135
10서독1034
11대한민국1012
12벨라루스0112
13노르웨이0101
14폴란드0022
15체코0011
이탈리아0011
오스트리아0011
합계535353159



여자부에서는 미국이 금메달 13개, 은메달 16개, 동메달 9개로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4. 1. 남자부

순위국가합계
1네덜란드881430
2미국87823
3소련86519
4캐나다610420
5대한민국63312
6러시아5218
7일본381122
8노르웨이33511
9핀란드1203
10스웨덴1113
11서독1001
벨라루스1001
독립국가연합1001
중국1001
15align=left |0202
16align=left |0101
17오스트레일리아0011
합계535353159


4. 2. 국가별 메달 순위

대한민국은 세계 스프린트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남자부와 여자부 모두 상위권에 랭크되어 있다.

국가별 메달 순위
순위국가합계
5대한민국63312
11대한민국1012



남자부에서 대한민국은 금메달 6개, 은메달 3개, 동메달 3개로 종합 5위를 기록했다. 여자부에서는 금메달 1개, 동메달 1개로 종합 11위를 기록했다.

5. 역대 대회 입상자

1970년 ISU 스프린트 선수권 대회(미국 웨스트 앨리스)로 시작하여 1972년부터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일본에서는 1986년 가루이자와정 (나가노현), 1993년 이카호정 (군마현), 2004년 나가노시 (나가노 현) 대회가 개최되었다. 2010년에는 오비히로시 (홋카이도)에서 개최되었다.

일본 선수로는 남자부에서 구로이와 아키라가 2번 종합 우승을 하였고, 시미즈 히로야스가 6번 시상대에 올랐다. 여자부에서는 고다이라 나오, 다카기 미호가 2번 종합 우승을 했다.

다음은 역대 대회 입상자 명단이다.

순위국가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합계
1네덜란드881430
2미국87823
3소련86519
4캐나다610420
5대한민국63312
6러시아5218
7일본381122
8노르웨이33511
9핀란드1203
10스웨덴1113
11서독1001
벨라루스1001
독립국가연합1001
중국1001
150202
160101
17오스트레일리아0011
합계535353159



순위국가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합계
1미국1316938
2동독106319
3독일85619
4중국55313
5일본44210
6캐나다43411
7네덜란드371020
8소련34310
9러시아1135
10서독1034
11대한민국1012
12벨라루스0112
13노르웨이0101
14폴란드0022
15체코0011
이탈리아0011
오스트리아0011
합계535353159


5. 1. 남자부

연도개최지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1970웨스트앨리스발레리 무라토프스즈키 게이이치망네 토마센
1971인첼에르하르트 켈러오베 쾨니그아르트 스헹크
1972에스킬스투나레오 린코베시발레리 무라토프아르트 스헹크
1973오슬로발레리 무라토프요스 팔렌테인에피 블레이커르
1974인스브루크페르 비에랑스즈키 마사키에피 블레이커르
1975예테보리알렉산드르 사프로노프예브게니 쿨리코프발레리 무라토프
1976서베를린요한 그라나트댄 이머폴피터 뮬러
1977알크마르에릭 하이든피터 뮬러예브게니 쿨리코프
1978레이크플래시드에릭 하이든프로데 뢴니요한 그라나트
1979인첼에릭 하이든가에탕 부셰르프로데 뢴니
1980웨스트앨리스에릭 하이든가에탕 부셰르톰 플랜트
1981그르노블프로데 뢴니세르게이 흘레브니코프아나톨리 메덴니코프
1982알크마르세르게이 흘레브니코프가에탕 부셰르프로데 뢴니
1983헬싱키구로이와 아키라파벨페고프힐버르트 판 더르 다윔
1984트론헤임가에탕 부셰르세르게이 흘레브니코프카이 아르네 엥엘스타
1985헤이렌베인이고리 젤레좁스키가에탕 부셰르댄 잰슨
1986가루이자와이고리 젤레좁스키댄 잰슨구로이와 아키라
1987생프와구로이와 아키라닉 토메츠미타니 유키히로
1988웨스트앨리스댄 잰슨우베옌스 마이에릭 플레임
1989헤이렌베인이고리 젤레좁스키우베옌스 마이안드레이 바흐발로프
1990트롬쇠배기태안드레이 바흐발로프이고리 젤레좁스키
1991인첼이고리 젤레좁스키우베옌스 마이구로이와 도시유키
1992오슬로이고리 젤레좁스키댄 잰슨구로이와 도시유키
1993이카호이고리 젤레좁스키미야베 야스노리시미즈 히로야스
1994캘거리댄 잰슨세르게이 클레프체냐이노우에 주니치
1995밀워키김윤만시미즈 히로야스미야베 야스노리
1996헤이렌베인세르게이 클레프체냐시미즈 히로야스호리 마나부
1997하마르세르게이 클레프체냐로게르 스트룀캐지 피츠랜돌프
1998베를린얀 보스제러미 워더스푼에르번 벤네마르스
1999캘거리제러미 워더스푼얀 보스시미즈 히로야스
2000서울제러미 워더스푼마이크 아일랜드시미즈 히로야스
2001인첼마이크 아일랜드시미즈 히로야스제러미 워더스푼
2002하마르제러미 워더스푼캐지 피츠랜돌프마이크 아일랜드
2003캘거리제러미 워더스푼헤라르트 판 펠더에르번 벤네마르스
2004나가노에르번 벤네마르스제러미 워더스푼마이크 아일랜드
2005솔트레이크시티에르번 벤네마르스제러미 워더스푼조이 치크
2006헤이렌베인조이 치크드미트리 도로페예프얀 보스
2007하마르이규혁페카 코스켈라샤니 데이비스
2008헤이렌베인이규혁제러미 워더스푼문준
2009모스크바샤니 데이비스나가시마 게이이치로시몬 카위퍼르스
2010오비히로이규혁이강석나가시마 게이이치로
2011헤이렌베인이규혁모태범샤니 데이비스
2012캘거리스테판 그로트하위스이규혁모태범
2013솔트레이크시티미헬 뮐더르페카 코스켈라헤인 오테르스페이르
2014나가노미헬 뮐더르샤니 데이비스대니얼 그레이그
2015아스타나파벨 쿨리즈니코프헤인 오테르스페이르알렉세이 예신
2016서울파벨 쿨리즈니코프키옐트 나위스카이 페르비
2017캘거리카이 페르비Håvard Holmefjord Lorentzen|호바르 홀메피요르 로렌첸no키옐트 나위스
2018창춘Håvard Holmefjord Lorentzen|호바르 홀메피요르 로렌첸no키옐트 나위스카이 페르비
2019헤이렌베인파벨 쿨리즈니코프신하마 타츠야키옐트 나위스
2020세계 종목별 선수권 대회 와의 통합 개최
2020하마르신하마 타츠야Laurent Dubreuil|로랑 뒤브뢰유영어Cha Min-kyu|차민규영어
2022하마르Thomas Krol|토마스 크롤영어카이 페르비Håvard Holmefjord Lorentzen|호바르 홀메피요르 로렌첸no
2024인첼Ning Zhongyan|닝중옌중국어Jenning de Boo|제닝 데 부nlLaurent Dubreuil|로랑 뒤브뢰유영어


5. 2. 여자부

연도개최지금메달은메달동메달
1970웨스트앨리스류드밀라 티토바니나 스타트케비치아체 클렌-딜스트라
1971인첼루트 슐라이어마허앤 헤닝다이앤 홀럼
1972에실스투나모니카 플루크다이앤 홀럼류드밀라 티토바
1973오슬로실라 영아체 클렌-딜스트라모니카 플루크
1974인스브루크레아 풀로스아체 클렌-딜스트라모니카 플루크
1975예테보리실라 영하이케 랑게캐시 프리스트너
1976서베를린실라 영레아 풀로스실비아 버카
1977알크마르실비아 버카레아 풀로스하이츠커 페일먼
1978레이크플래시드류보브 사드치코바베스 하이든에르비나 리시페렌스
1979인첼레아 풀로스베스 하이든크리스타 로텐부르거
1980웨스트앨리스카린 엥케레아 풀로스-뮐러베스 하이든
1981그르노블카린 엥케타트야나 타라소바나탈랴 페트루스요바
1982알크마르나탈랴 페트루스요바카린 부슈모니카 플루크
1983헬싱키카린 엥케나탈리야 페트루시요바크리스타 로텐부르거
1984트론헤임카린 엥케발렌티나 랄렌코바골로벤키나나탈리야 글레보바
1985헤이렌베인크리스타 로텐부르거앙겔라 슈탕케에르비나 리시페렌스
1986가루이자와카린 카니아크리스타 로텐부르거보니 블레어
1987생푸아카린 카니아보니 블레어크리스타 로텐부르거
1988웨스트앨리스크리스타 로텐부르거카린 카니아보니 블레어
1989헤이렌베인보니 블레어크리스타 루딩로텐부르거하시모토 세이코
1990트롬쇠앙겔라 후으크슈탕케보니 블레어크리스티너 아프팅크
1991인첼모니크 가브레히트예차오보크리스티너 아프팅크
1992오슬로예차오보보니 블레어크리스타 루딩로텐부르거
1993이카호예차오보보니 블레어옥사나 라빌로바
1994캘거리보니 블레어앙겔라 하우크슈탕케쉐뤼훙
1995밀워키보니 블레어옥사나 라빌로바프란치스카 솅크
1996헤이렌베인크리스 위티에델 테레세 회이세트프란치스카 솅크
1997하마르프란치스카 솅크쉐뤼훙크리스 위티
1998베를린카트리오나 르메이 돈자비네 푈커크리스 위티
1999캘거리모니크 가브레히트카트리오나 르메이 돈자비네 푈커
2000서울모니크 가브레히트크리스 위티마리안너 팀머르
2001인첼모니크 엔펠트가브레히트산미야 에리코카트리오나 르메이 돈
2002하마르카트리오나 르메이 돈안드레아 나위트안젤리카 코튜가
2003캘거리모니크 가브레히트엔펠트신디 클래슨신야 시호미
2004나가노마리안너 팀머르아니 프리징거제니퍼 로드리게스
2005솔트레이크시티제니퍼 로드리게스안젤리카 코튜가자비네 푈커
2006헤이렌베인스베틀라나 주로바왕만리키아라 시미오나토
2007하마르아니 프리징거이레인 뷔스트신디 클래슨
2008헤이렌베인예비 볼프아니 프리징거안네터 헤릿선
2009모스크바왕베이싱예니 볼프위징
2010오비히로이상화요시이 사유리예니 볼프
2011헤이렌베인크리스틴 네스빗안네터 헤릿선마르곳 부르
2012캘거리위징크리스틴 네스빗장훙
2013솔트레이크시티헤더 리처드슨위징이상화
2014나가노위징장훙헤더 리처드슨
2015아스타나브리트니 보헤더 리처드슨카롤리나 에르바노바
2016서울브리트니 보헤더 리처드슨요리엔 테르 모르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